(06.30) 수정됨.
페이지 RPM
애드센스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표들 중 하나다.
페이지 조회수 1천 당 수익을 나타내는 지표로, 조회수당 기대수익을 예측할 수 있는 자료다.
내 블로그의 경우 페이지 RPM은 1.3 달러 수준이다...
다른 사람들은 얼마나 높을까?
구글이나 네이버 등 검색엔진에 "애드센스 수익인증"과 같은 검색어의 검색 결과를 찾아보면 RPM이나 CPC, CTR과 같은 정보도 함께 올린 글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다음은 그런 글에 게시된 이미지다.
출처 애드센스 RPM 올리기! 한달 만에 3배($4.7 -> $13.73) 만들기 Part 1. RPM 지표 이해하기
출처 스레드
참고) 기밀 정보??
참고로 애드센스 약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페이지 rpm이나 cpc, ctr 등의 정보가 이에 해당하는 것 같은데, 많은 사람들이 이런 내용을 공개하고 있는 것을 보면 딱히 잡지는 않는 듯 하다.
귀하는 구글의 서면 동의 없이 구글 기밀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에 동의합니다. "구글 기밀 정보" 는 다음 사항을 포함합니다. (a) 모든 구글 소프트웨어, 테크놀러지, 서비스에 관한 문서, (b) 서비스에 관한 사이트 퍼포먼스와 관련된 광고 클릭률 또는 기타 통계, (c) 서비스에서의모든 비공개의 베타 또는 실험적 기능의 존재, 이에 관한 정보 또는 그 조건, (d) 구글에 의해 기밀로 표시되거나 제시되는 사정에 의해 보통 기밀로 간주되는 기타 정보.
구글 기밀 정보는 귀하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이미 알고 있었으며 귀하의 잘못을 통해서가 아닌데 대중에게 알려지고 귀하에 의해 독자적으로 개발되었거나 제3자에 의해 귀하에게 합법적으로 제공된 정보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제11조에도 불구하고, 귀하는 귀하의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하는 구글의 총지불금을 정확하게 공개할 수 있습니다. |
페이지 RPM 상승 = 수익의 증대
어떻게 보면 페이지 RPM이 상승할 수록 수익이 늘어난다.
이렇게 보면 페이지 RPM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그렇지 않다. 페이지 RPM은 단순 통계를 통한 수치이기 때문에 이를 건드리는 건 불가능하다.
페이지 뷰(조회수)가 적다면 이런 식으로 페이지 RPM을 오염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사진을 보자. 페이지 뷰가 1천도 되지 않아 페이지 RPM이 오염되었다.
출처 네이버 블로그
만약 남은 700 페이지 뷰에서 광고 클릭이 1도 발생하지 않는다면 페이지 RPM은 257.53의 1/3에 해당하는 95달러 정도로 하락할 것이다.
내 사이트의 RPM이 1달러 남짓인 것을 생각하면 오염된 것을 감안하고도 매우 높은 수치이긴 하다.
페이지 RPM 대신 우리가 건드려야할 부분은 CTR과 CPC다. CTR은 광고의 클릭률을, CPC는 광고의 단가를 뜻한다.
CTR을 1에서 10으로 늘리기만 해도 RPM은 10배로 증가한다.
반대로 CPC가 1에서 10으로 늘어나기만 해도 RPM이 10배 증가한다.
가장 좋은 것은 단가가 높은 광고를 더 많이 클릭하게 하는 것이다.
CTR을 높이는 방법
앞서 페이지 RPM을 공개한 글 중 1개에서 자신의 사이트 주소를 공개한 것이 있었다.
슬기로운 통계생활이라는 웹사이트였는데, 사이트의 글을 확인해보니 광고가 다음과 같이 송출되고 있었다.
"경영정보 시각화 능력"이라는 자격증에 대한 글이고, 여기에 "한국직업능력진흥원"에서 진행하는 무료 자격증 교육 수강 광고가 송출된다.
글의 내용과 광고가 서로 연관이 있으니 자연스럽게 광고의 클릭률도 높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반대로 송출되는 광고가 글의 내용과 다를 경우에는 광고의 클릭률이 낮을 것이다.
다음 스크린샷을 보자. 미니콘다(Miniconda) 명령어를 다루는 글이지만 광고는 포토샵과 도시락 광고가 송출되고 있다.
중간 정리
광고 클릭률(CTR)을 높이기 위해서는 글의 내용과 관련된 광고가 송출되어야 한다.
광고 단가(CPC)를 높이는 방법
광고 단가를 높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것은 광고를 송출하는 사이트 주인이 아니라 광고를 내는 광고주의 결정을 따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가가 높은 주제를 선택해 글을 작성하는 가능하다.
앞서 보았듯이 송출되는 광고는 게시되는 페이지의 내용과 어느 정도 매칭이 되기 때문이다.
Google에서는 콘텐츠 또는 잠재고객을 타겟팅하는 광고를 자동으로 게재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
광고 단가 조회 방법
광고주를 위한 플랫폼인 "구글 애즈"에서 "키워드 플래너"를 이용하면 광고 단가를 조회할 수 있다.
키워드 플래너를 사용하려면 구글 애즈에서 "도구" - "키워드 플래너"를 선택하면 된다.
출처 구글 키워드 검색량 및 단가 조회 내 포스팅 확인하는 방법 2가지